top of page
03.JPG
13.JPG

엘 포트 빌딩

위치: 서울시 강남구 대치동 962-11

지역지구: 일반주거지역, 일반미관지구

용도: 근린생활시설, 주택

대지면적: 268.10㎡

건축면적: 154.36㎡

연면적: 986.83㎡

건폐율: 57.58%

용적률: 293.01%

규모: 지하 1층, 지상 6층

​구조: 철근 콘크리트조

설계기간: 2005

'엘 포트'는 상업 번화가인 테헤란로와 학원 중심과 밀집된 주거 단지의 사이에 위치한 주거공간을 겸한 상업 오피스 건물이다.

도로에 진입하면서 만나게 되는 '엘 포트'는 복잡하고 화려한 도시 컨텍스트에서 조금 뒤로 물러선 듯한 정적인 지점에 랜드마크와 같은 점을 찍는 동시에 이색적인 볼륨과 강렬한 색채를 가진 오브젝트의 느낌을 갖는다.

건물 외관에 쓰인 콘크리트와 내후성 강판은 지하주차장과 주 공간을 구분한다.

경사를 끼고 형성된 지하 주차장은 시야를 노출시킨 적삼목 루버로 처리되었고, 메탈 격자의 천장마감과 함께 공간의 밀도를 높이면서도 투명성을 가진 트레스홀드가 되었다.

입면재료는 내후성 강판으로 덮인 프레인 형태의 표피 안에 투명한 커튼월 유리를 사용함으로써 코르텐이 가진 나무 느낌의 자연 친근한 색조를 투명함과 대조시켰다. 내후성 강판은 인공적인 색채를 사용하지 않은, 세월의 흐름에 따라 달라지는 무광택의 색을 통해 세월의 흐름과 시간성을 담게 되는 재료다. 이 재료는 다시 주 계단과 엘리베이터 코어 부분의 루버가 되고 이는 입면의 통일성을 가중한다.

입면 표피의 내백은 파스텔 예로우의 색감을 가진 고밀도 목재패널로 마감되어 외부의 강렬한 다크 브라운 색조와의 대비를 통해 재료의 물성을 더욱 드러내기 원했다. 배면은 표피 속에서 적삼목의 볼륨이 드러나는 형식으로 각 층의 기능에 따른 재료와 구성 형식의 분리를 통해 내부의 에너지를 외부로 발산하는 명료성을 가진다.

1,2층에 위치한 이태리 레스토랑의 평면 구성은 도로변의 소음과 산만함을 흡수하여 후면의 정적이고 평화로운 정원으로의 오리엔테이션을 유도하는 안락한 리트릿(retreat)을 연출한다. 인테리어의 재료와 색채 구성은 외부와 연결된 맥락의 물성을 사용함으로 내외부의 통일성, 미니멀리즘적 단순성을 유도했다. 바닥은 짙은 갈색의 메이플 나무판으로 플로어링 됐으며, 바 카운터와 노출된 2층 슬래브의 테두리 벽면은 무채색의 콘크리트가 사용되어 공간의 차분함과 세련미를 더한다. 후면의 정원에 심은 대나무는 다시 선명한 청록의 자연색으로 내후성 강판의 배경과 대비된다. 실루엣으로 표현된 계단과 2층의 난간은 공간의 통일성과 시야의 열림을 의도하여 투명한 유리 난간을 설계했다. 1층은 내외부의 투명한 관계를 위해 유리로 노출 되었으나 2층은 창문의 위치를 시야로부터 제한함으로써 다소 내부 집중적인 모습의 대조된 공간으로 연출되었다.

5,6층은 주거공간이 삽입된 원룸 형 스튜디오로 구성되었다. 6층의 주거 스튜디오 공간은 분절되어 적삼목 데크로 플로어링된 안마당 개념의 공간이 삽입된다. 잔디가 식재되고 대나무를 심는 중츨 높이의 시원한 정원이 다시 벽을 통해 자연과 하늘을 불러들이는 생태적인 환경을 만든다. 데크로 연결된 마당 공간은 하늘로 뚫려있으면서 옥탑층까지 연결된 하늘 마당 휴식 공간이다. 옥상 공간은 직원들과 거주자들이 올라와 도시를 관망하고 기분을 전환하는 리프레쉬 공간을 제공한다.

전체적인 공간 구성은 주 코어부분 동선 방향성의 조절, 진입부로부터 혼재된 단층과 중층의 적절한 공간 비례 의도, 예기치 못한 그린 area의 삽입으로 인한 다이내믹함과 긴장감으로 정리될 수 있다. 동선의 방향은 건물로의 여정 속에서도 도로와의 관계성을 발견하게 하며 도시 속의 정체성을 깨닫게 한다.

​입면과 측면의 구성 역시 도시 조직의 축을 중심으로 완전한 열림과 닫힘 그리고 투명성을 가진 면과 닫힘, 폐쇄성을 가진 면의 대립된 구조로 읽을 수 있다. 미니멀리즘 건축의 단순성, 명료성의 조형적 특성을 드러내는 입면 구조는 프레임으로 절제된 외피가 건물을 감싸흔 형태를 취하며, 외피는 프로토타입으로부터 유기적으로 변화된 경계선이 된다. 생태적인 재료로서 선택한 내후성 강판은 적삼목과 조화를 이루어 자연 친화의 정서를 발산하고 건물 전체의 유기적인 색채계획을 통한 물성의 발현이 의도되었다.

PROJECT

(주)예조종합 건축사 사무소

서울시 강남구 언주로 118 우성캐릭터199 1108호

TEL 02 569 8343 FAX 02569 8347

Copyright ⓒYejo Urban & Architects inc.,Ltd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